2025 EU-KOREA and INVESTMENT RELATIONS
상태바
2025 EU-KOREA and INVESTMENT RELATIONS
  • Thomas 전문기자
  • 승인 2025.03.30 08: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5 EU-대한민국 무역 및 투자협력
EU-유럽연합 대표부 토론

 

2025 EU-KOREA Trade and Investment Relations

EU-KOREA
FUTURE COOPERATION FORUM
한-EU 통상정책 포럼

2025 EU-KOREA 무역 및 투자 관계, 혁신과 협력의 미래를 논하다

3월 28일, 한국무역회관에서 '2025 EU-KOREA Trade and Investment Relations' 포럼이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는 주한 유럽연합 대사와 유럽연합 대표부, 스웨덴, 스페인, 리투아니아, 헝가리, 프랑스,세계중소업연맹,세계문화경제포럼 등 각 유럽 국가의 대표들이 참석했다. 또한, 학계, 기업, 지자체장도 함께 모여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한 열띤 논의가 펼쳐졌다.

세계문화경제포럼 이성우 부회장,주한유럽연합 대사(Maria CASTILLO FERNANDEZ)

 

포럼에서는 미래의 혁신과 다자주의, 공정한 무역의 필요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교환되었으며, 참석자들은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을 모색했다. 특히, EU와 한국 간의 무역 및 투자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었으며, 상호 협력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주한 유럽연합 대사는 "EU와 한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파트너"라며, "앞으로의 협력이 양국의 경제를 더욱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한, 참가자들은 혁신적인 기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전 세계 상품 무역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는 유럽연합(EU)은 전 세계에서 제조 상품 및 서비스를 가장 많이 교역아고 있다.EU는 80개국에서 1대 교역 파트너이며, 경제대국 가운데 무역이 경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EU는 외국인투자자와 해외투자에 있어서도 세계1위를 기록하고 있다.최근 몇 년간 EU는 다양한 신흥국 및 선진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여 국제 무역에서의 선도적 위치를 더욱 강화했다.

주한스웨덴대사관 정무참사관,세계문화경제포럼 이성우 부회장,주한리투아니아대사관 대리 대사,주한스페인대사관 공관 차석

 

2023년 0.5%의 연간 성장률을 기록한 EU경제는 2024년 전년 대비 0.9%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광법위한 경기침체가 지속된 이후 EU경제는 2024년 1분기에 성장을 회복했다.인플레이션 압력이 둔화되는 가운데 2분기 와 3분기에도 성장률이 다소 둔화되었지만 꾸준히 성장세가 유지되었다.경제 불확실성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내수는 다소 확대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소비가 촉진되고 2024년 감소한 투자가 회복되며,2025년 EU경제는 1.5%의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다.2026년 수요의 지속적인 확대로 경제 활동은 1.8%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경제국 가운데 하나이다.2024년 명목 국내총생산(GDP)1.95조 달러를 기록한 한국의 경제규모는 세계12위 아시아에서는 4위로 집계되었다.2023년 기준 한국의 무역은 GDP의 88%,상품 및 서비스 수출은 GDP 44%를 차지했다.2025년 1월 기준 한국이 59개 국가와 체결한 21개 FTA가 발효 중이며,전 세계 GDP에서 이 국가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85% 다.지난 몇 년간 한국은 5개의 다른 파트너들(걸프협력이사회(GCC),아랍에미레이트(UAE),필리핀,과테마라,에콰도르)과 FTA 협상을 완료하거나 FTA를 체결했으며,12개 국가들과 FTA 협상을 게시하거나 기존 FTA를 개선하는 협상에 착수했다.

세계문화경제포럼 이성우 부회장은 “우리는 현재 지정학적인 변화로 인해 격변기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전쟁과 갈등은 다자주의 체제와 전 세계적인 신뢰에 균열을 가져왔다.이로 인해 비즈니스 상의 불확실성은 증폭되고 국가간 무역을 포함한 전 분야에서 규범에 기반한 국제 질서는 약화되고 있다.

이번 포럼은 유럽과 한국 간의 경제적 유대 강화를 위한 중요한 디딤돌이 되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협력과 교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참석자들은 향후 다자간 협력을 통해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무역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에 동참할 것을 다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